
마우스 버튼 가운데에 있는 휠은 주로 스크롤하여 화면을 이동하는데 데 사용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마우스 휠은 클릭하는 것으로 꽤나 유용한 사용이 가능한데 마우스 휠 클릭의 활용 방법을 아는 사용자는 생각보다 드문 편인 듯하다. 마우스 휠 버튼의 유용한 사용 방법 1. 새 창으로 열기. 마우스 휠 클릭의 대표적인 사용 방법이 아닐까 한다. 인터넷의 링크나 작업표시줄의 프로그램을 마우스 좌클릭이 아닌 휠버튼으로 클릭하게 되면 기존의 창이 아닌 새창으로 열리게 된다. 보통 새창으로 열 때 마우스 우클릭으로 메뉴를 열고 메뉴에서 선택하는 사용자가 많지만 휠을 클릭하게 되면 메뉴를 부를 필요 없이 바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꽤나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기능이 아닐까 한다. 휠을 클릭하여 새 창으로 열 ..

스마트폰에는 제스처 모드라는 기능이 있다. 해당 기능은 스마트폰 하단의 내비게이션 버튼(홈, 뒤로가기, 오버뷰) 버튼을 없애고 터치 후 이동하는 제스처 방식으로 기존의 내비게이션 버튼을 대신하는 기능이다. 사용하기에 따라서는 스마트폰 조작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어 편리하기 때문에 아직 사용해보지 않았다면 설정 후 사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스와이프 제스처 설정 하기 1. 스마트폰 설정 실행. 스마트폰의 설정을 실행하자. 2. 메뉴 이동. 설정 화면이 나타나면 [디스플레이 -> 내비게이션 바] 순으로 이동하자. 3. 스와이프 제스처 설정. 스와이프 제스처를 터치하여 선택하자. ※. 옵션 더보기. 옵션에서는 스와이프 제스처의 사용 방식이나 뒤로가기 제스처의 민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민감도의 경우 뒤로가..

갤럭시 계열 스마트폰의 뒤로가기 버튼은 기본적으로 오른쪽에 위치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서는 뒤로가기 버튼이 왼쪽에 위치한 경우도 있는데 기존에 다른 기종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갤럭시 계열 스마트폰으로 변경했다면 이런 부분을 꽤나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용자도 있을 것이다. 갤럭시 뒤로가기 버튼 순서 변경하기 1. 스마트폰 설정 실행. 스마트폰의 뒤로가기 버튼의 순서가 불편하다면 설정에서 이를 변경해주면 된다. 우선 스마트폰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설정을 실행하자. 2. 메뉴 이동. 설정 화면이 나타나면 [디스플레이 -> 내비게이션 바] 순으로 이동하자. 3. 버튼 순서 변경하기. 내비게이션 바 화면이 나타나면 아래 부분의 버튼 순서 부분에서 원하는 뒤로가기 위치로 버튼 순서를 선..

키보드 중에는 컴퓨터 본체를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 버튼(혹은 키)이 있는 키보드가 있다. 편의성을 위해 만든 것이겠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편의보다는 실수로 키를 잘못 눌러 작업하던 내용을 모두 날리는 대참사를 겪는 경우가 많은데 키보드의 전원 키로 인한 대참사를 방지하고자 한다면 다음의 방법으로 전원 버튼이 작동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다. 키보드 전원 버튼 비활성화 하기 1. 전원 옵션 실행. 시작에서 [전원 관리 옵션 선택]을 검색하고 실행하자. (제어판에서 [전원 옵션]를 찾아 실행해도 된다.) 2. 전원 단추 작동 설정 이동. 전원 옵션 창이 나타나면 왼쪽의 메뉴에서 [전원 단추 작동 설정]을 클릭하여 이동하자. 3. 전원 단추 설정 변경. 단추 작동 설정 화면이 나타나면 이제 전원 ..

파이어 폭스는 크롬이나 엣지와는 다르게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직접 추가해줘야 한다. 그렇다고 복잡한 과정이 있는 것은 아니고 검색 엔진을 추가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주소창에 버튼을 통해 추가하기만 하면 되는데 이렇게 추가한 검색 엔진은 주소창 검색에 메인 검색 엔진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키워드를 추가하면 간단하게 검색 엔진을 선택하고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이어 폭스 검색 엔진 추가 활용방법 1. 검색 엔진 추가하기. 파이어 폭스에 검색 엔진의 추가는 간단하다. 검색 엔진이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주소창을 클릭. 주소창이 펼쳐지면서 하단에 검색엔진 아이콘이 나타나면 + 표시가 보이는 현재 사이트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검색엔진을 추가할 수 있다. 2. 검색 엔진 키워드 설정. 검색 엔진을 ..

파이어 폭스의 주소창을 클릭하면 바로가기 사이트들이 같이 등장한다. 빠르게 사이트를 이동할 때는 편리하긴 하지만 주소창이 길게 늘어나는 것 자체가 싫다면 다음의 방법으로 설정을 변경하면 된다. 파이어 폭스 주소 창 바로 가기 사이트 숨기기 1. 파이어 폭스 설정 실행. 파이어 폭스의 오른쪽 상단의 三을 클릭하여 메뉴를 열고 [설정]을 실행하자. 2. 주소 표시줄 설정 변경. 설정 페이지가 나타나면 왼쪽의 메뉴에서 [개인 정보 및 보안]을 클릭. 오른쪽 창에 정보 및 보안이 나타나면 주소 표시줄 부분 찾아 [바로 가기] 클릭하여 체크를 해제하자. 3. 주소 창 확인. 이제 주소창을 클릭해보면 바로 가기 사이트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 내용 주소창에서 바로 가기를 숨기게 되면 검..

인터넷에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려고 보면 webp 형태로 저장되는 경우가 있다. webp는 구글에서 만든 이미지 포맷으로 장점이 많은 포맷이긴 하지만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아직도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보니 그냥 jpg 형태의 포맷을 선호하는 사용자도 많은데 jpg 이미지를 원하지만 저장할 때 webp 형태로만 저장이 된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webp 이미지를 jpg 이미지로 저장하자. 크롬 webp 이미지를 jpg 이미지로 저장하기 1. 그림판. 이미지에 마우스 우클릭 메뉴를 열고 [이미지 복사]를 클릭. 클립보드에 복사된 이미지를 그림판에 붙여넣고 jpg 형태로 저장하면 된다. 조금 번거롭긴 하지만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없이 단순한 방법이며 크롬 외에 모든 브라우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법이다..

카카오톡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에 예약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메시지 예약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한다면 친구나 지인, 혹은 자기 자신에게 알람처럼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여러모로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방법 자체는 아주 간단하다. 카카오톡 예약 메시지 전송 하기 1. 채팅창 # 터치. 예약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채팅방에 들어간 뒤 채팅창 오른쪽의 #을 터치하자. 2. 새 메시지 예약 만들기. # 메뉴가 나타나면 [메시지 예약]을 터치하자. 3. 메시지 예약 설정. 보낼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예약시간을 설정하면 기본적인 메시지 예약 설정은 끝이라고 봐도 되며 발송 대상과 미리 알림의 경우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필요하다면 추가로 설정하거나 변경하자. - 메시지 입력. : 예약 메시지 내..

사진을 찍다보면 날짜가 보이거나 필요없는 로고 혹은 원하지 않은 인물이나 물체까지 같이 찍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사진을 다시 찍는 것이 보통이지만 다시 찍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아래의 사이트를 이용하여 사진의 특정 부분을 지워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사진에서 로고, 인물, 물체 등을 지우기 1. 사이트 접속. 우선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사이트에 접속하자. 인페인트 사이트 2. 사진 업로드. 사이트 메인 화면에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메뉴가 보일 것이다. 해당 부분에 사진을 끌어다 놓거나 [Upload image]버튼을 누르고 사진을 업로드하자. 3. 필요없는 부분 지우기. 사진을 업로드하고 잠시 기다리면 편집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왼쪽의 도구를 이용하여 로고, 인물, 물체 등을 필요없..

카카오톡 그룹 채팅방의 경우 기본적으로 초대 거부에 대한 옵션이 없기 때문에 채팅방을 만드는 사람이 나를 초대하면 강재로 입장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처음에는 강재로 초대가 되도 해도 채팅방에서 나갈 때는 다시 초대가 안되도록 거부할 수는 있는데 한번 초대했던 채팅방에서 다시 초대를 하지 못하게 거부하고자 한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채팅방 초대 거부를 하고 나가도록 하자. 카카오톡 그룹 채팅방 초대 거부 하는 방법 1. 그룹 채팅방에서 메뉴 열기. 우선 초대 거부를 하고자 하는 그룹 채팅방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三] 모양을 터치하여 메뉴를 열자. 2. 채팅방 설정 이동. 메뉴가 나타나면 오른쪽 하단의 [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을 터치하여 설정으로 이동하자. 3. 채팅방 초대 거부 및 나가기. 설정 화면을 가..

게임이나 인터넷 쇼핑 등 실행 중인 프로그램 화면을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ALT + TAB]으로 화면 전환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화면 전환 만으로는 작업표시줄에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표시되기 때문에 조금만 유심히 보면 어떤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지 쉽게 알 수 있는데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작업표시줄에서 까지 완전히 숨기고자 한다면 아래에 소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실행 중인 프로그램 숨기기 1. 프로그램 다운로드. 아래의 네이버 블로그 블로그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자. WindowexeHideWindow 페이지(프로세스 자료 천국 블로그) 2. 프로그램 실행. 별도의 설치 과정은 없다. 파일의 압축을 풀고 WindowexeHideWindo..

실행은 필요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트레이 부분으로 숨기면 좋지 않을까 생각하는 사용자는 많을 것이다. 하지만 윈도우의 기능에는 이러한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데 프로그램의 사용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다. 작업표시줄 실행 프로그램을 트레이로 숨기기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트레이로 숨기는 외부 프로그램의 종류는 꽤 많이 있다. 여기서는 MinimizeToTray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행 프로그램을 트레이로 숨겨 봤다. 1. 프로그램 다운로드.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사이트에 접속. MinimizeToTray 다운로드 페이지(SOFTPEDIA) 왼쪽 상단의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하고 창이 나타나면 [Softpedia Secur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