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윈도우11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를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된 앱에서는 삭제 메뉴가 나타나지 않는다. 때문에 엣지를 사용하지 않고 이를 삭제하고자 한다면 조금은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엣지의 삭제는 명령어를 통해서 삭제를 해야 하며 삭제 후에도 기본 브라우저 변경과 윈도우 업데이트로 자동 설치되는 것을 막기 위한 레지스트리를 추가하는 과정까지 거쳐야지만 완전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엣지 완전 삭제하기 1. 엣지 버전 확인. 엣지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엣지의 버전을 알아야 한다. 버전 확인은 엣지의 상단의 [...]을 클릭하여 메뉴를 열고 [도움말 및 피드백 -> Microsoft Edge 정보]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정보 화면에서 확인이 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며 윈도우가 잠기는 경우가 있다. 이는 보안을 생각하면 상당히 좋은 기능이라고 볼 수 있지만 개인이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반대로 그냥 불편한 기능이 될 수도 있는데 절전 모드 진입 시 잠금 화면의 사용 여부는 설정의 로그인 옵션을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윈도우11 절전 모드 잠금 사용 여부 설정 하기 1. 로그인 옵션 실행. 시작메뉴에서 전원 버튼 아이콘을 클릭하여 메뉴를 열고 [로그인 옵션]을 실행하자.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순으로 실행해도 된다.) 2. 동적 잠금 설정. 로그인 옵션 창이 나타나면 추가 설정 부분을 확인해 보자. 절전 모드 진입 시 컴퓨터의 로그인 잠금 화면과 관련된 설정을 하고자 한다면 추가 설정 부분의 'Windows를..

하드디스크는 절전 모드와는 별도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따라서(기본 설정은 20분) 꺼지도록 되어있다. 노트북의 전원 관리에는 좋을 수 있지만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는 크게 필요한 기능은 아니며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라면 오히려 방해가 되는 기능이 될 수도 있다. (윈도우10이나 8, 7도 비슷한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하드디스크 끄기 사용 안 함 설정 하기 1. 전원 관리 옵션 설정 편집 실행. 시작에서 [전원 관리 옵션 설정 편집]을 검색한 뒤 실행하자. ([전원 관리 옵션 설정 선택]하고 헷갈리지 말자.) 2.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 설정 편집 창이 나타나면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을 클릭하자. 3. 하드디스크 설정. 전원 옵션 창이 나타나면 [하드디스크 ->..

윈도우 탐색기의 미리 보기 창은 엑셀과 같은 오피스 파일의 미리 보기도 가능하다. 하지만 간혹 잘보이던 엑셀 파일의 미리 보기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별다른 설정을 변경했음에도 엑셀 파일의 미리 보기가 보이지 않는 것이라면 관련 레지스트리 값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하는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해볼 수 있다. 윈도우11 탐색기 엑셀 미리 보기 문제 해결 하기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시작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검색하여 실행하자. ([Ctrl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regedit]를 입력해도 된다.) 2. 경로 이동.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 되면 아래의 경로로 이동하자.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

윈도우 탐색기에서는 jpg, png, gif 등의 사진이나 그림 파일 외에도 워드나 엑셀 파일을 열지 않고도 일부 내용을 볼 수 있는 미리 보기 창 기능이 있다. 윈도우11에서는 탐색기 메뉴가 조금 달라지긴 했지만 해당 기능은 여전히 존재하는데 탐색기의 기본 설정은 해당 기능이 비활성화 로 되어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설정에서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윈도우11 탐색기 파일 미리 보기 창 설정하기 1. 미리 보기 창 활성화. 탐색기 상단의 메뉴에서 [보기 -> 표시 -> 미리 보기 창]을 클릭하여 미리 보기 창 기능을 활성화하자. 2. 파일 확인. 기능을 활성화하면 탐색기의 오른쪽에 미리 보기 창이 나타난다. 이제 그림 파일이나 엑셀, 워드 등의 오피스 파일을 한 번 클릭해 보자. 미리 보기 창에 파일의 ..

윈도우11을 사용하다 보면 암호의 만료가 얼마 남지 않았다거나, 암호가 만료되었다는 알림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알림은 최대 암호 사용 기간에 정해진 일수에 따라서 나타나게 되는데 알림이 발생할 때마다 암호를 변경하는 것이 귀찮다면 다음의 방법으로 암호 사용 기간을 무제한으로 변경하는 것은 어떨까 한다. 윈도우11 암호 사용 기간 무제한 설정 하기 1.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시작에서 cmd를 검색한 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자. 2. 암호 사용기간 확인. cmd 창이 나타나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최대 암호 사용기간을 확인해 보자. 현재 계정의 암호 사용기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net accounts 3. 암호 사용기간 무제한으로 변경. 기간을 확인해 보면 숫가자 나타나있을 ..

윈도우11의 시작 버튼을 클릭해보면 하단에 전원 단추만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은 개인 설정을 하는 것에 따라서 설정이나 문서 등 다른 실행 단추를 추가할 수 있는데 없으면 없는 대로 사용해도 크게 문제 되거나 불편함은 없지만 다른 실행 단추를 추가하면 생각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윈도우11 시작 메뉴 전원 단추 옆 설정 표시하기 1. 시작 메뉴에 표시할 폴더 선택 실행. 시작에서 [시작 메뉴에 표시할 폴더 선택]을 검색 후 실행 하자. (설정에서 [개인 설정 -> 시작 -> 폴더] 순으로 이동해도 된다.) 2. 설정 단추 추가하기. 폴더 창이 나타나면 설정을 켬으로 변경하자. 설정 외에 필요한 다른 단추가 있다면 켬으로 변경해도 된다. 3. 시작 메뉴 확인. 단추를 추가했다면 시..

윈도우11의 시작 메뉴에서 검색을 하게 되면 윈도우 내의 검색 외에도 웹 사이트에 대한 검색도 같이 하게 된다. 어찌보면 유용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기능이긴 하지만 문제는 이 웹 사이트가 bing이라는 점이 문제인데 bing의 검색 결과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만족스럽지 않다 보니 이러한 웹 검색 기능은 리소스만 잡아먹는 골치 덩어리라고 생각하는 사용자들이 많을 것이다. 윈도우11 시작 메뉴 bing 웹 검색 기능 끄기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시작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검색한 뒤 실행하자. ([Ctrl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regedit를 입력해도 된다.) 2. 경로 이동. 편집기 창이 나타나면 아래의 경로로 이동하자. 컴퓨터\HKEY_CURRENT_USER\Software\Poli..

윈도우10과 마찬가지로 윈도우11 역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설치하는 앱의 기본 설치 경로는 고정되어 있다. 설치 시 별다른 설저없이 빠르게 설치되기 때문에 편할 수도 있지만 드라이브의 용량 관리를 생각한다면 마냥 편한 것은 아닌데 이러한 기본 경로는 변경이 불가능하긴 하지만 설치 드라이브를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윈도우11 스토어 앱 설치 드라이브 경로 변경 하기 1. 저장소 설정 실행. 시작에서 [저장소 설정]을 검색한 뒤 클릭하여 실행하자. (윈도우 설정 [시스템 -> 저장소]를 실행해도 된다.) 2. 새 콘텐츠 저장 위치 설정. 저장소 설정 창이 나타나면 [고급 저장소 설정 -> 새 콘텐츠가 저장되는 위치] 클릭하자. 3. 앱 설치 드라이브 변경. 저장 위치 창이 나타나면 새 앱 저장 위치에..

윈도우11은 작업표시줄에 실행 중인 같은 종류의 앱은 그룹화가 되어 표시되며 이를 해제하는 기능은 따로 없다. 때문에 윈도우10 처럼 그룹화를 해제하고자 한다면 Explorer Patch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는데 프로그램 자체는 간단한 형식이기 때문에 그룹화가 불편하다면 이를 이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윈도우11 작업표시줄 앱 그룹화 해제하기 1. 프로그램 다운로드. 아래의 github 페이지에서 접속한 뒤 ep_setup.exe를 다운로드 하자. (윈도우 디펜더에서 다운로드를 막는다면 [유지 -> 더 보기 -> 그래도 계속]을 클릭하여 다운로드를 하자.) ExplorerPatcher 다운로드 페이지 2. 프로그램 설치. 다운로드 한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자. 3. 작업표시줄 확인...

윈도우에 문제가 생겼을 때 마지막으로 해결을 시도해볼 만한 환경은 안전모드 부팅이 아닐까 한다. 안전모드에 진입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는데 정상적인 부팅이 가능한 상태라면 윈도우의 기능을 통해 안전모드 부팅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상태라면 컴퓨터를 비정상 종료하여 윈도우의 고급 시작 옵션을 실행한 뒤 안전모드 부팅을 진행해야 한다. ※ 비정상 종료는 컴퓨터가 온전히 부팅되기 전에 리셋이나 전원 버튼을 눌러 컴퓨터를 몇번 다시 켰다 껐다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재수 없으면 문제 해결을 하려다 윈도우 자체를 날려먹거나 컴퓨터 자체에 무리가 올 수 있다. 도저히 답이 없을때나 시도해 보자. 윈도우11 강제 안전모드 부팅하기 1. 컴퓨터 비정상 종료하기. 컴퓨터가 켜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10초 정도 길게 눌러..

윈도우의 스티커 메모는 종료하지 않으면 윈도우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윈도우11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스티커 메모를 부팅 시 자동 시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해야 한다. 윈도우11 스티커 메모 자동 실행 하기 1. 앱 폴더 열기.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shell:startup]을 입력하자. 탐색기가 실행되면서 Applications 폴더가 열릴 것이다. 2. 시작 프로그램 폴더 열기. 이번에는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shell:startup]을 입력하자. 탐색기가 실행되면서 시작 프로그램 폴더가 열릴 것이다. 3. 스티커 메모를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하기. 1번과 2번을 잘 수행했다면 Applic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