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팀 클라이언트에 이상이 있는 경우 어쩌면 제거 후 재설치를 하는 것 가장 빠른 문제 해결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윈도우의 설치된 앱(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스팀 클라이언트를 제거하게 되면 설치되어 있던 스팀 게임까지 모두 삭제되기 때문에 스팀 클라이언트를 삭제하고 재설치할 때 설치되어 있던 스팀 게임은 남겨두고자 한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재설치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목차 스팀 게임 유지하고 재설치 하기 1. 스팀 설치 경로로 이동. 탐색기에서 스팀의 설치 경로로 이동하자. 설치 시 경로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기본 경로는 아래와 같다. (경로를 변경는데 모르겠다면 스팀 바로가기에서 속성을 확인해 보자.) C:\Program Files (x86)\Steam 2. 파일 삭제. 경로에 이동했다면 ..

스팀의 게임들은 클라이언트의 설치 제거를 통해서 정상 삭제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혹 설치 제거를 하더라도 '%game% 제거 중...'이라는 메시지만 나타나고 삭제가 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설치 제거가 되는 듯 보이지만 아무리 기다려도 게임이 삭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콘솔 명령어를 통해 삭제를 시도해 보자. 목차 개발자 모드에서 게임 삭제하기 1. 게임 ID 확인하기. 콘솔 명령어를 통해 게임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해당 게임의 ID를 알아야 한다. 삭제하려는 게임의 바로가기에서 마우스 우클릭 메뉴를 열고 [속성]을 실행. 속성 창의 URL 주소 중 뒤의 숫자를 확인해 보자. 해당 숫자가 게임의 ID이다. 2. 콘솔 창 활성화 실행. 스팀에 콘솔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콘솔창을 ..

윈도우11에서 jpg, png, gif 등의 이미지 파일은 보통 사진 앱으로 열리게 되어있다. 이것이 싫다면 연결 프로그램 메뉴에서 그림판 등 이미지를 열 수 있는 다른 앱을 선택하면 되지만 윈도우7에서 부터 사용하던 사진 뷰어는 목록에서 보이지 않는데 사진 뷰어가 없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결 프로그램 목록에 사진 뷰어가 나타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 파일을 열고자 한다면 아래의 방법을 참고해보자. 목차 윈도우11 사진 뷰어로 이미지 파일 열기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시작에서 [레지스트리]를 검색 한 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자.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regedit]를 입력해도 된다.) 2. 경로 이동.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되면 아래의 경로로 이동 하자. (..

윈도우11과 윈도우10 등 OS를 2개 이상 설치하게 되면 컴퓨터 부팅 시 어떤 운영체제로 진입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부팅 목록 화면이 나타나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간혹 사용자가 별다른 설정을 변경하지 않았음에도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라든가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뒤부터 부팅 목록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아래의 방법을 참고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면 어떨까 한다. 목차 멀티 부팅 목록 메뉴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1. 시스템 구성. 가장 확인하기 쉬운 방법은 고급 시스템 설정이나 시스템 구성에서 멀티 부팅 화면이 나타나도록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것인데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상관없으니 편한 방법으로 확인을 해보자. 여기서는 시스템 구성을 통해서 확인해 봤다. 시작에서 [msconf..

윈도우11을 설치한 상태에서 윈도우10 같은 다른 버전의 윈도우나 리눅스 등 운영체제를 추가로 설치하게 되면 멀티 부팅을 할 수 있게 된다. 멀티 부팅은 처음 부팅시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목록이 나타나는데 제한 시간 동안 운영체제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 OS로 설정되어있는 운영체제로 부팅이 된다. 멀티 부팅의 제한 시간이나 기본 OS와 관련된 설정은 시스템 구성 혹은 고급 시스템 속성에서 변경이 가능한데 어느 방법이든 결과는 같으니 필요하다면 편한 방법으로 설정을 변경하면 된다. (여기서는 고급 시스템 속성으로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정리해 봤다.) 목차 멀티 부팅 기본 OS 변경하기 1. 고급 시스템 속성 실행. 시작에서 [고급 시스템 속성]을 검색한 뒤 실행하자. 2. 시작 및 복구 설정 실행. 시스템..

캐시 파일은 주기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좋지만 직접 삭제하는 것은 생각보다 번거롭기 때문에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 해두는 것이 편하다. 하지만 크롬은 엣지나 파이어 폭스 같은 다른 웹 브라우저와는 다르게 브라우저 종료 시 캐시 파일을 삭제하는 등의 자동 삭제 기능이 없는데 이 때문에 크롬의 캐시 파일을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설정하고 싶다면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한다. 목차 크롬 브라우저 캐시 파일 자동 삭기 1. 확장 프로그램 설치. 아래의 링크를 통해 크롬 웹 스토어 접속한 뒤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자. 크롬 웹 스토어(오토 클린) 2. 확장 프로그램 옵션 실행. 확장 프로그램이 설치가 되면 확장 프로그램을 클릭해서 메뉴를 열고,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옵션을 실행하자. 3. 자동 삭제 설..

크롬 웹 브라우저의 캐시 파일은 방문한 웹사이트에서 이미지, 스크립트, 스타일 시트와 같은 리소스를 저장하고 더 빠르게 로드하도록 도와주는 임시 파일이다. 하지만 캐시가 너무 많이 쌓이게 되면 오히려 성능 저하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한번 저장된 캐시는 사용자가 삭제하지 않는이상 계속 남아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삭제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고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목차 크롬 브라우저 캐시 파일 삭제 하기 1. 크롬 설정 실행. 크롬 상단의 [...]을 클릭하여 메뉴를 열고 [설정]을 실행하자. 2. 설정 메뉴 이동. 크롬의 설정 화면이 나타나면 왼쪽의 메뉴에서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을 클릭. 오른쪽의 화면에서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를 클릭하자...

윈도우의 프로그램 캐시는 컴퓨터에서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더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저장된 데이터이다. 하지만 간혹 프로그램 캐시가 손상되어 프로그램의 실행이 되지 않거나 캐시의 용량이 너무 커서 컴퓨터가 느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평소에 잘 실행되던 프로그램이 갑자기 실행되지 않거나 컴퓨터가 조금 느려진 거 같다고 느낀다면 다음의 방법으로 윈도우에 저장된 캐시를 삭제해 보자. 윈도우11 프로그램 캐시 삭제하기 1. 디스크 정리. 디스크 정리(Disk Cleanup)를 사용하여 윈도우의 캐시를 삭제하자. 시작에서 [디스크 정리]를 검색 후 실행. 드라이브 선택 화면이 나타나면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드라이브를 선택하자. 보통은 C:\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니 C:\를 선택하면 ..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현재 기기에서 재생 중인 음악이나 노래 등을 재생하는 앱은 중지가 되거나 소리가 나지 않게 된다. 동영상 촬영 중에 기기의 다른 소리가 들어가지 않게 하려는 것이겠지만 동영상 촬영과 함께 특정한 분위기나 자연스러운 연출을 위한다면 이러한 기능은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촬영 중 음악을 재생하고자 한다면 다음의 방법을 사용해 보자. 스마트폰 동영상 촬영 중 음악 재생하기 1. 촬영 중 음악 재생 시작. 별다른 앱의 설치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면 음악이나 노래가 재생되는 앱은 종료가 되는 것이 아니라 잠시 중단 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생각한다면 동영상 촬영을 시작한 뒤 중지된 음악이나 노래를 다시 재..

셀에 입력된 내용 중 숫자만 필요하거나, 영문자, 혹은 한글 같은 문자만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여러 가지 함수를 잘 조합하면 원하는 부분만 추출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너무 많은 함수의 조합은 상당히 복잡해 보이고 복사해서 사용하다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자주 사용한다면 매크로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한다. 매크로 설명 사용자 정의 함수 형태의 매크로로 엑셀의 함수를 사용하듯이 extract_chars(추출 셀, 옵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옵션은 아래와 같다. extract_chars(추출 셀, 1) : 영문만 추출. extract_chars(추출 셀, 2) : 숫자만 추출. extract_chars(추출 셀, 3) : 한글만 ..

엑셀에서 매크로를 사용하거나 매크로를 작성하는 경우 이를 조금 더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발 도구를 리본 메뉴에 추가하는 것이 좋다. 개발 도구를 메뉴에 추가하게 되면 vba 창을 열기도 쉽고 추가 기능이나 매크로 실행, 버튼 등의 삽입 등이 훨씬 쉽기 때문인데 개발 도구를 엑셀의 리본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엑셀 개발 도구 추가하기 1. 엑셀 옵션 실행. 엑셀 상단의 [파일] 탭에서 [옵션]을 클릭하여 실행하자. 2. 리본 메뉴에 개발 도구 추가. 옵션 창이 나타나면 창의 왼쪽 메뉴에서 [리본 사용자 지정]을 클릭. 창의 오른쪽 화면에서 리본 메뉴 사용자 지정에 있는 [개발 도구]를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옵션 설정을 변경하자. 3. 개발 도구 메뉴 확인. 옵션을 변경하면 엑..

최신 버전의 엑셀이라면 간단하게 qr코드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구 버전의 엑셀이라면 기본적으로는 qr코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vba 매크로를 만든다고 해도 추가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데 구글 차트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매크로를 만든다면 별다른 라이브러리나 엑셀의 버전에 상관없이 qr코드를 생성하는 매크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매크로 작동 방식. 선택한 셀의 값으로 qr코드를 이미지를 생성하고 삽입하는 매크로. 선택은 단일 셀을 선택을 해도 되고, 범위로 셀을 선택을 해도 된다. 생성된 qr코드는 선택한 셀의 오른쪽에 생성된다. 구글 차트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qr코드가 생성되지 않는다. 엑셀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