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PC버전 광고 차단 설정 방법

2024. 11. 1. 22:31 / 서기랑

 카카오톡 PC 버전은 실행할 때 오른쪽 아래 부분에 팝업 광고가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고 메인 화면 하단에는 고정된 배너 광고가 항상 존재하고 있다.

 팝업 광고 정도는 잠시 기다리면 사라지니 그나마 괜찮지만 하단의 배너 광고는 친구나 채팅창을 선택할 때 실수로 클릭하게 되는 일이 생각 보다 자주 발생하여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카카오톡 PC버전 광고 차단 설정 방법

 카카오톡 PC버전에서 광고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윈도우의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애드블록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인데 두 방법에는 나름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1.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광고 차단.

 별다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hosts 파일만 수정하면 카카오톡 PC 버전의 광고를 차단할 수 있다.

 다만 하단 광고의 경우 광고가 있던 자리를 카카오 비즈니스 배너가 차지하기 때문에 광고든 뭐든 해당 위치에 뭔가 눌리는 게 있어서 불편한 것이라면 애드블록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 파일 수정 방법

 시작에서 [메모장] 혹은 [notepad]를 검색한 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자.

시작에서 메모장 검색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메모장을 실행했다면 [열기 -> 파일]을 클릭한 뒤 아래의 경로를 붙여넣고 이동하자.

%windir%\System32\drivers\etc

혹은

c:\windows\System32\drivers\etc

 

 경로에 이동했다면 처음에는 파일이 하나도 없을 것이다.

 파일 유형을 [모든 파일(*.*)]로 변경한 뒤 [hosts] 파일을 열자.

hosts 파일 열기

 hosts 파일이 열리면 가장 아랫 부분에 다음의 값을 추가하고 저장하자.

127.0.0.1 display.ad.daum.net

카카오톡 PC버전 광고 차단

 수정한 파일은 카카오톡을 완전히 종료하고 다시 실행하면 적용된다.

 (창에서 [X}를 누르면 안 되고 [설정 -> 종료]를 클릭하거나 단축키 [Alt + X]를 눌러 종료해야 한다)

카카오 비지니스 광고

2. 애드블록 프로그램으로 광고 차단.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방법과는 달리 하단 배너의 공간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다만 별도의 프로그램이니 만큼 따로 다운로드와 실행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카카오톡의 광고를 제대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광고를 차단해 주는 프로그램보다는 카카오톡 전용 애드블록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확실한데 해당 프로그램 github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프로그램 다운로드.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github 페이지에 접속하자.

 KakaoTalkAdBlock(github)

 

 페이지에 접속했다면 최신 버전의 Assets 부분에서 KakaoTalkAdBlock_amd64.exe 혹은 KakaoTalkAdBlock_i386.exe 파일을 클릭하여 프로그램 파일을 다운로드하자.

 (KakaoTalkAdBlock_amd64.exe는 64비트, KakaoTalkAdBlock_i386.exe는 32비트 프로그램이다)

깃허브 카카오 애드블럭

 파일을 다운로드했다면 이제 카카오톡이 실행된 상태에서 해당 파일을 실행해 보자.

 카카오톡 PC버전의 하단 광고가 깔끔하게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카카오톡 PC버전 애드블럭 광고 차단

 

그 외 내용

- hosts 파일을 간단하게 말하면 특정 사이트로 접속하는 주소를 변경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여기서는 카카오톡의 광고 접속을 로컬 접속으로 변경하여 광고를 차단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본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면 특정 사이트의 접속을 막는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윈도우11 hosts 파일 수정하는 방법

 특정 웹 사이트 차단하는 방법

 

- 공유기의 설정에서도 hosts 파일에서 광고를 차단한 것과 같은 설정이 가능하다.

 정확히는 이쪽 설정이 정석적인 설정이라고 볼 수 있지만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할 수 있으니 그냥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단 여러 대의 컴퓨터가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을 하고 있다면 모든 컴퓨터의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것보다 그냥 공유기 하나만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더 편하다.

 

- 위에서 사용할 카카오톡 애드블록 프로그램은 설치 없이 바로 실행이 가능한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별도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카카오톡을 실행하고 또 애드블럭 프로그램도 실행해야 하는 약간의 번거로움을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텐데 두 프로그램을 각각 실행하는 게 귀찮다면 배치 파일을 만들어서 한 번에 실행되도록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아래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한 번에 실행할 수 있는 배치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정리한 글로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여러 프로그램을 한 번에 실행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