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index 함수 사용 방법 정리

2018. 5. 24. 12:11 / 서기랑

 표나 범위 내에서 값이나 참조 영역을 구하는 함수.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지정한 범위를 기준으로 행, 과 열의 값을 주면 그에 해당하는 값을 구해오는 함수라고 보면 되는데 보통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 match 함수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엑셀 index 함수 기본

 우선 함수의 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다.

 =index(array, row_num, [column_num])

 =index(reference, row_num, [column_num], [area_num])

 특이하게도 index 함수는 기본 문법이 두 종류인 것을 볼 수 있는데 하나의 범위를 지정했을 경우에는 array, 다중 범위를 지정했을 경우에는 reference가 들어간 식이 된다고 보면 된다.

index 함수 기본


 array : 값을 구할 범위를 지정하는 부분.

 일반적인 범위를 지정하듯이 지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지정하고 싶은 범위가 B2부터 F8까지 라면 B2:F8과 같이 값을 넣으면 된다.

범위 지정


 reference : 값을 구할 범위를 지정하는 부분.

 위에서 언급한 대로 다중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 reference가 있는 문법이 사용된다고 보면 되는데 다중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 안에 범위를 지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B2부터 B8, D2부터 D8을 추가한다고 하면 (B2:B8, D2:D8)과 같이 값을 넣으면 된다.

다중 범위 지정


 row_num : 범위에서 반환할 행 번호를 지정하는 부분.

 행 번호는 지정한 범위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1부터 생성된다고 보면 되는데 예를 들어 B2부터 F8까지의 범위를 지정했다고 하면 B2, C2, D2, E2, F2의 row_num은 1이 되고 그다음 B3, C3, D3, E3, F3의 row_num은 2가 되는 식이다.

행 번호 지정


 [column_num] : 범위에서 반환할 열 번호를 지정하는 부분.

 열 번호는 지정한 범위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1부터 생성된다고 보면 되는데 예를 들어 B2부터 F8까지의 범위를 지정했다고 하면 B2~B8의 [column_num]은 1이 되고 그다음 C2~C8의 [column_num]2가 되는 식이다.

 또한 []가 있는 만큼 생략도 가능한데 생략하는 경우의 기본 값은 1이며 값을 생략하더라도 =INDEX(B2:F8,3,)와 같이 마지막에 구분하는 쉼표(,)는 꼭 넣어야 한다.

열 번호 지정


 [area_num] : 범위를 다중으로 지정했을 경우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부분.

 범위는 지정한 순서대로 1부터 생성되는데 예를 들어 D2부터 D8, B2부터 B8 순으로 범위를 지정하게 되면 D2부터 D8의 [area_num]1, B2부터 B8의 [area_num]2가 되는 식이다.

 역시나 []가 있는 만큼 생략이 가능한데 생략하는 경우의 기본 값은 1이며 위의 [column_num]과는 다르게 생략하더라도 구분하는 쉼표(,)는 넣을 필요 없다.

 (오히려 넣으면 에러 난다.)

범위 선택


사용 예

 아래의 표에서 3행 2열의 값을 구해보자.

 (표의 범위는 B2에서 F8)

사용 예

 우선 표의 범위를 표시했기 때문에 array값으로 B2:F8를 넣으면 된다.

 그리고 row_num과 [column_num]역시 3행 2열과 같이 값이 주어졌으니 행 값인 row_num에는 3을, 열 값인 [column_num]에는 2를 넣으면 된다.

 또한 여기서는 다중 범위 선택이 아니기 때문에 [area_num]은 넣을 필요가 없다.

 =index(B2:F8, 3, 2)

3행 2열의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