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상호 참조 기능 사용 방법

2025. 3. 14. 22:36 / 서기랑

  한글의 상호참조 기능은 문서 내의 특정 위치(표, 그림, 책갈피 등)를 참조하여 대상이 있는 위치를 쪽번호 등으로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목차 등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참조 대상으로 이동하는 하이퍼링크를 만들 수도 있기 때문에 보고서나 논문 등 길고 복잡한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면 좋다.

 

한글 상호 참조 기능 사용하기

1. 커서 위치 이동.

 상호참조는 현재 문서내에 커서 위치에 만들어진다.

 때문에 상호참조를 만들기 전에 먼저 커서 위치를 이동하자.

2. 상호 참조 실행.

 커서 위치를 확인했다면 이제 상호참조를 실행하자.

 

2-1. 상단 리본 메뉴에서 [입력]으로 이동.

2-2. [상호참조]를 클릭하여 실행하면 된다.

 (단축키는 [Ctrl + K, R]이다)

한글 상호 참조 실행하기

3. 상호 참조 만들기.

 상호 참조 참이 실행되면 이제 상호 참조를 만들면 되는데 상호 참조는 표, 그림, 책갈피, 각주, 미주 등 여러 대상을 기준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3-1. 파일.

 보통은 현재 문서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건드릴 필요는 없지만 다른 문서를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3-2. 참조 대상 종류.

 어떤 종류의 대상을 참조를 할지 선택하는 부분이다.

 표, 그림, 책갈피, 각주, 미주 등을 선택할 수 있다.

 

3-3. 참조 내용.

 상호 참조를 만들면 문서에서 보이는 내용이라고 보면 된다.

 보통은 쪽 번호나 위/아래 정도로 표시할 수 있지만 책갈피의 경우 책갈피 이름이나 내용을 선택할 수도 있다.

 

3-4. 참조 대상 선택.

 문서 내에 어떤 대상을 참조할지 선택하면 된다.

 참조 대상 종류에서 선택한 종류가 트리 메뉴로 나타나며 이를 선택하면 된다.

 

3-5. 하이퍼 링크 여부 설정.

 하단의 하이퍼링크로 연결을 체크하면 상호 참조를 클릭했을 때 해당 대상으로 이동하는 하이퍼 링크를 만들 수 있다.

 

3-6. 모든 부분을 확인했다면 [넣기] 버튼을 클릭하여 상호 참조를 만들면 된다.

한글 상호 참조 기능 사용 방법

 

그 외 내용

- 상호 참조를 잘 못 만들었다면 마우스 우클릭 메뉴를 열고 [상호 참조 고치기]를 클릭하면 된다.

 

- 참조한 대상의 쪽 번호가 달라져도 걱정하지 말자.

 문서가 다시 열리거나, 저장, 아니면 상호 참조 링크를 클릭하는 등의 일 종의 작업을 하면 자동으로 변경된 쪽번호가 업데이트된다.

 

- 책갈피와 유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책갈피와 병행해서 사용하게 되면 목자를 만들고 목차를 클릭하면 이동하는 등의 기능도 만들 수 있어 아주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