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책갈피 만드는 방법

2025. 3. 13. 22:51 / 서기랑

 한글의 책갈피 기능은 문서 내 특정 위치를 표시해 두고 필요할 때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다.

 긴 문서를 작업하거나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문서를 편집할 때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서의 목적이나 상태에 따라서 책갈피의 사용을 고려해 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한글 책갈피 만들기

1. 커서 위치 이동.

 책갈피는 현재 커서의 위치 혹은 현재 선택된 블록을 기준으로 만들어진다.

 때문에 책갈피를 만들기 전에 먼저 해당 위치로 커서를 이동해야 한다.

한글 커서 이동

2. 책갈피 실행.

 커서를 이동했다면 한글 상단 메뉴에서 책갈피를 실행하자.

 

2-1. 상단 리본 메뉴에서 [입력]으로 이동.

2-2. [책갈피]를 클릭하면 된다.

 (단축키는 [Ctrl + K, B])

한글 책갈피 실행

3. 책갈피 만들기.

 책갈피 창이 나타나면 이제 책갈피를 만들면 된다.

 

3-1. 책갈피 이름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변경하자.

 기본적으로 커서가 있는 줄의 내용이 나타나며 책갈피 이름은 실제 문서에 보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너무 길면 줄여도 되고 알아보기 좋게 입력하면 된다.

 

3-2. 오른쪽의 [넣기] 버튼을 클릭하면 책갈피가 만들어진다.

책갈피 만들기

4. 책갈피 이동.

 책갈피를 만들었다면 책갈피를 만든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1. 책갈피 목록에서 이동할 책갈피 선택.

4-2. [이동]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책갈피 위치로 이동

 

그 외 내용

- 1번에서도 언급했지만 책갈피는 커서가 있는 위치에 만들어진다.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문서를 편집하는 것이 좋으며 책갈피를 넣을 때도 줄의 제일 앞에 넣을지 뒤에 넣을지 아니면 블록으로 넣을지를 고민하는 것이 좋다.

 

- 한글 문서에서 책갈피가 어떤 위치에 만들었는지 보고 싶다면 [조판 부호]가 보이도록 설정하면 된다.

 상단 리본 메뉴에서 [보기 -> 조판 부호]를 체크하면 된다.

 (특히 문서 편집 시 책갈피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꽤나 큰 도움이 된다)

 

- 책갈피와 함께 상호 참조 기능을 같이 사용한다면 목차를 만들고 책갈피로 이동하는 기능을 만들 수 있다.

 책갈피를 열고 이동하는 것보다 직관적이기 때문에 꽤나 유용하다.